반응형

1위 종목 : TQQQ (x3 나스닥 레버리지) , -79% 수익률

 2022년 한해동안의 TQQQ 주가 차트입니다. 우선 매수 타이밍은 총 4번정도 있고, 매도타이밍은 3번정도 있었습니다. 그리고 매물대는 $10 후반 ~ $20 후반으로 많이 형성되어 있고, 만약 본인이 해당 매물대 위치가 아니라면, 퀀트분석을 통해서 본전을 만들기를 바랍니다. 만약 스윙투자가 아닌 장기투자로서 접근을 했다면, 굉장한 손해를 봤을수도 있는 한해였습니다.

 각 구간별 퀀트분석을 진행해서, 어떤 위치에 들어가는게 좋은지 확인해볼까요. 구간별 매수 또는 매도 날짜는 다소 차이가 발생할 수 있었습니다. (* 피보나치로 전저점 및 전고점 범위로 인해서 변경됨.)

 

[ 2022년 TQQQ 구간별 퀀트분석 ]

 

1 구간 : 1월말 ~ 3월 중순

 

  1구간에서 매수 타이밍은 2번정도 나왔고, 두 지점에서 금액대는 40불 초중반으로 보입니다. 보시다시피, 기본적으로 구간별 비교를 했을 때 모든 구간이 TQQQ 는 하락장이였고, S&P500 도 하락장입니다. 다시 말해서, 하락장에 맞는 매매 전략이 필요합니다.

 

 우선 위에 차트에서 보듯이, 파란색 동그라미가 매수타이밍 시점인데, 볼린저밴드, RSI 상 매수시점이라고 나타내고 있습니다. 피보나치 지표상 이전차트에 대한 부분을 추가하지 않았음으로, 이 부분은 넘어가기로 할께요.

 매도타이밍은 2번정도 확인이 되고, 대략 60불 초중반으로 보여집니다. 볼린저밴드, RSI 그리고 피보나치 지표상 전 저/고점 대비 73.6% 위치로 매도 타이밍으로 나쁘지 않은 부분입니다.

 만약 투자방식을 투자금의 100% 를 매수/매도로 진행했을때, 수익률은 대략 39.5%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제 1구간 퀀트분석 ]

 

2 구간 : 5월초 ~ 8월 중순

 

  2구간에서 매수 타이밍은 1번정도 나왔고, 금액대는 20불 초중반으로 보입니다. 기본적으로 1구간과 같이, 하락장으로 분석이 되고, 볼린저밴드, RSI 는 매수신호를 주었습니다. 그리고 피보나치 지표는 전저점이 뚫리면서, 새로운 지지라인이 필요한 시점이였습니다. 일반적으로 전저점이 뚫리게 되면, 이전 전저점으로 다시 설정이 필요합니다.

 

[ 제2구간 퀀트분석을 이용한 매수타이밍 분석 ]

 

 매도타이밍은 1번정도 확인이 되고, 대략 30불 후반으로 보여집니다. RSI 상 신호를 주었고, RSI Divergence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볼린저밴드는 Sell 신호 근접한 부분이여서, 나쁘지 않은 포지션이였고, 피보나치 지표는 0.5 미만 이긴하지만, 매수 금액이 20불 초반이기 때문에, 30불 후반에 매도를 해도 수익률이 60% 정도 확인이 되는 시점에서 욕심 부릴 이유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 제2구간 퀀트분석을 이용한 매도타이밍 분석 ]

 

3 구간 : 9월초 ~ 12월 중순

 

 3구간에서 매수 타이밍은 1번정도 나왔고, 금액대는 20불 초반으로 보입니다. 기본적으로 1구간과 같이, 하락장으로 분석이 되고, 볼린저밴드, RSI 는 매수신호를 주었습니다. 그리고 피보나치 지표는 전저점 위치까지 내려온 시점이였습니다. 나머지 매수신호 위치들은 하나의 보조지표만 매수신호를 주는 위치이기에 따로 언급을 하지 않겠습니다.

 

[ 제3구간 퀀트분석을 이용한 매수타이밍 분석 ]

 

 매도타이밍은 1번정도 확인이 되고, 대략 20불 중반으로 보여집니다. RSI 상 신호를 주었고, RSI Divergence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볼린저밴드 및 피보나치상 매도신호로 보기에는 약한 모습을 보여서, Hold 하면 좋을 것 같긴합니다. 결과론적이긴 하지만, 그 후로 금액이 미끄러면서 17불 중반까지 떨어진 모습을 볼 수 있다.

 

마무리

 2022TQQQ 를 분석해 본 결과 총 3~4번의 스윙매매 기회가 있었고, 이때 적절한 시기에 매매를 했다면, 아래와 같은 수익률을 볼 수 있었을 것입니다. 또한 구간별 매매기법이 어떠한 신호를 줬을 때, 매매를 했을때 괜찮았는지 볼 수 있는데, 최소한 2~3개 이상의 지표가 같은 방향을 나타냈을 때, 매매 수익률이 좋았습니다. 그리고 아래의 표에는 없지만, 1년치 주식차트에서 보듯이, 볼린저밴드 및 RSI 에서는 많은 매수 또는 매도 신호가 나옵니다. 그렇지만, 둘 중에 하나라도 매치가 안된다면, 아래 테이블에서 제외했습니다. 이점 참고해서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 2022년 TQQQ 퀀트분석 결과 ]

반응형

'퀀트분석 백테스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미국주식 순매수 Top 10 수익률  (0) 2023.01.04
반응형

 최악의 하락장이라고 하는 2022년 한해동안 한국인 순매수 Top 10 에 대해서 백테스팅을 해볼께요. 미래는 알 수 없지만, 과거를 통해서 다가올 미래에 대해서 대응은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래는 2022년 한국인 순매수 Top 10 에 대한 chart 이다. 우선 모든 종목이 마이너스 수익률을 보이면서, 최악의 한해라고 볼 수 있었습니다. 특히 3배 레버리지를 투자한 종목들은 최소 -80% 이상의 손해를 보입니다. 레버리지의 특성을 정확히 보여주고 있다. 또한 눈에 띄는 종목이 있는데, 바로 테슬라 입니다. 레버리지도 아닌데, 레버리지와 비슷한 변동폭을 보여주면서, 투자자들의 손해도 컸을 것이라고 사료됩니다.

 

 저 또한 퀀트분석 프로그램을 시도하기전에, 2021년말부터 투자를 시작했기에 손해를 피해갈 수 없었고, 만약 내가 처음투자부터 퀀트분석을 통해서 투자를 했다면, 수익률이 얼마정도 일까 백테스팅을 해볼까 합니다.

 

 시간이 허락한다면, Top1 - 10 까지 다 해볼까 하는데, 우선 순차적으로 TQQQ 부터 해볼까 합니다.

 

[ 2022년 미국 주식 순매수 Top 10 ]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퀀트분석을 통한 경제적자유를 꿈꾸는 달리는 조조 입니다.

 

우선 저는 퀀트분석을 기반으로 물린 주식들을 차례차례 정리하면서, 탈출할 계획이고 전반적인 경제상황을 시간적인 여유가 없어서, 유튜브를 통해서 해결하고 있습니다.

먼저, 여러 개의 주식이 물려있는 상황에서, Charge point (CHPT) 가 먼저 매수 기회가 와서 왜 제가 매매를 했는지 공유하고자 합니다.

 

[분석 방법]

1. 퀀트분석 (S&P500, MACD, Bollinger band, RSI 그리고 Fibonacci S&R)

2. 매물대 및 RSI 다이버젼스

 

1. 퀀트분석

 

12월21일 (회색 box) 13주 CHPT 를 매수했고, 당시 매수 금액을 $9.66 로 최저금액은 아니였지만, 아래의 퀀트분석시 CHPT 주가 및 S&P500 이 Bearish 한 부분을 감안했고, bollinger band 및 RSI 상 매수 signal 을 주었습니다. 또한 Fibonacci 로 비율로도 0.764 매수하기 나쁘지 않은 타이밍이 였다고 생각합니다. 시간이 지난 현시점에서(12/31) 기준에서 봤을때도, 바닥 터치후 다시 $9.6 까지 올라왔고, 다음주에도 상승 모멘텀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 CHPT 퀀트 분석 ]

2. CHPT 매물대 및 RSI 다이버젼스

 

2022년 한해 CHPT 매물대는 크게 3 구간으로 나누어지는 것 같습니다. $12 , $14 그리고 $16불 대입니다. 현재 저희 위치는 $16불대 임으로, 여전히 갈길이 멀지만, 스윙투자로 2번정도 하면, CHPT 는 탈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RSI 도 상승다이버젼스가 나왔기 때문에, 우선 당분간 상승 모멘텀이 있어 보입니다.

[ CHPT 매물대 및 RSI 다이버젼스 ]

 

CHPT 는 당분간 매수는 Hold 하고 매도 타이밍을 볼려고 합니다. 만약 그 전에 상승 모멘텀이 끊긴다면, 손절 타이밍을 보면서, 손실을 피하고자 합니다.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와 구독 부탁립니다. ^^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퀀트분석을 통한 경제적자유를 꿈꾸는 달리는 조조 입니다.

 

저는 2021년 말부터 (최대 호황기) 주식을 시작해서, 지금 모든 주식이 물려있는 상황입니다. 2022년 한해동안 계속된 하락장을 저같은 초보 주식투자자가 피해갈 수 있는 장이 아니였습니다. 저 또한 현재 50% 가까운 손실을 기록하고 있고, 이 상황이 발생한 것에 대한 부분을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우선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습니다.

 

1. 무작정 장기투자는 굉장히 위험한 발상이다.

▶ 2022년 한해 많은 유튜버들이 장기투자에 대한 부분을 강조를 많이 했고, 저 또한 그렇게 믿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2022년 한해동안 계속된 하락장은 장기투자자 입장에서 굉장히 참기 힘든 부분들이였습니다.

 

2. 계속된 하락장에서도 시장은 몇번의 기회를 줬지만, 그 기회를 보려고 하지 않았다.

▶ 1번과 비슷한 맥락인데, 2022년 계속된 하락장이라고 하지만, 그래도 몇번의 스윙투자를 할수 있는 기회를 시장을 주었습니다. 그렇지만, 계속해서 수량을 모으는게 맞다고 생각을 하고 단기적으로 매도를 하지 않은게 이렇게 많은 손실을 유발 시킨 것 같습니다.

 

3. 한 두개의 보조지표에 의지를 하면 안된다.

▶ 당시 투자를 시작했을때, 한 두개의 보조지표를 맹신해서, 투자를 하게 되었습니다. 당연히 아무것도 모르는 것 보다는 좀 나을 수는 있겠지만, 잘못된 믿음이 얼마나 무서운지 이번 하락장에서 깨닫게 되었습니다.

 

4. 뇌동매매 및 추격매매를 하면 안된다.

▶ 주가가 생각보다 너무 많이 빠졌을때마다 매수를 한다거나, 갑자기 주가가 반등을 하면서 추격매매를 하는 경우도 다소 있었습니다. 확고한 원칙이 없다보니, 이러한 잘못을 계속 저지르게 되었습니다.

 

2023년에는 개인적으로 물린 주식들을 하나씩 정리하면서, 수익률을 -50% ▷ 0% 만드는게 1차 목표입니다. 위와같은 실수를 범하지 않으면서, 퀀트분석을 통해서 탈출을 해보려고 합니다. 저와 비슷한 경우로 투자에 힘드신 분들에게도 좋은 정보가 되었으면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가치있는 데싸를 꿈꾸는 달리는 조조 입니다.

 

2022년 금리인상을 3 또는 4차례 한다고 하는 부분으로 인해서, 주가가 굉장히 급락하고 있고, 금일 드디어 VIX 지수가 30을 돌파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과거 2016~2018년 금리인상 및 미중무역 그리고 2020년 팬더믹으로 현재 금리인상에 대한 부분을 고민할 수 있습니다.

 

아무것도 모르면, 언제 사야하는지 언제 팔아야 하는지 감이 안오겠지만, 데이터를 분석하고, 현재 시점에서 가능한 시나리오를 나열하게 되면, 좀 더 안정적이고 강한 멘탈을 가지시게 될 것 입니다.

 

우선 나스닥 지수인 QQQ 를 가지고, VIX 지수와 상관성을 확인해보았습니다.

2015년 말 금리인상 시작전에 VIX 지수가 50 정도까지 올라가면서, 주가가 엄청나게 하락한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2016년 초 실제 금리인상 시점에서는 VIX 30 수준에서 머물고, 주가도 하락을 했네요. 그리고 2018년 미중무역 전까지 주가는 우상향을 보여주었고, 2년 이란 시간동안 VIX 지수가 올라간 적이 조금 보이지만, 주가상 그렇게 많이 하락을 보여주지는 못했습니다. 그럼 현재로 돌아가볼까요?

 

VIX 지수는 40 에 육박을 했고, 주가 또한 많이 하락을 했습니다. 아직 VIX 지수가 더 올라갈 수 있고, 주가는 더 빠질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실제 금리인상 시점인 3월에는 반등을 보이면서 올라가지 않을까 싶네요.

 

[ QQQ vs. VIX 상관관계 분석 ]

 

다음으로는 QQQ 를 가지고, RSI 퀀텀분석을 해보겠습니다.

 

참고로, 빨간원의 수평높이는 높이입니다. VIX 지수와 전반적으로 비슷한 양상을 보여줍니다. 금리 인상전에 RSI 지수도 많이 빠진것을 볼 수 있고, 실제 금리인상 시점에서는 RSI 지수가 인상전보다 높은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현재 2022년 금리인상 전 이렇게 빠지는게 이해가 되시리라 생각됩니다. 실제 3월 금리인상 시점에는 주가가 일시적 하락후 반등의 모습을 보여주지 않을까 싶습니다.

 

[ QQQ vs. RSI 퀀텀분석 ]

 

각자 하시는 종목에 따라 조금씩 다를수는 있겠지만, 현 시점에서 무지성 투자보다는 많은 분석을 통해서 현재의 고통을 넘어서, 나중에 성공적인 투자의 한걸음이 되었으면 합니다.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와 구독 부탁립니다. ^^

반응형

'기본이론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TQQQ (X3) 산업 및 회사비중  (0) 2022.01.14
Leveraged ETF 란? QQQ, TQQQ  (2) 2022.01.14
ETF 란?  (0) 2022.01.13
2022년 1분기 루시드 주식 전망  (2) 2022.01.07
이동평균선 (Moving average) 지표란?  (2) 2022.01.05
반응형

안녕하세요. 가치있는 데싸를 꿈꾸는 달리는 조조 입니다.

 

이번에는 TQQQ 가 나스닥지수를 추종하는 것까지는 이해하셨겠지만, 어떤 카테고리의 회사들에 투자가 되는지 아는 것도 중요하겠죠? 현재 어떤 회사가 가장 핫 할까요? 당연히 테슬라, 애플, 구글, 아마존 등등 이겠죠. TQQQ 는 나스닥 지수에서 핫한 회사들에 투자를 주로 하고 있습니다. 그럼 같이 산업별 비중 및 회사별 비중을 알아볼께요.

 

산업별 Index sector weight

 

나스닥100 에 많은 회사들이 있는데, 카테고리가 많이 나뉘겠죠? 테크, 헬스케어, Utility 등등... 그럼 TQQQ 는 얼마나 많은 비중으로 각각에 분산투자가 되고 있을까요? 아래에서 보듯이, 기술주에 절반의 비중이 투입이 되어 있네요.

 

[ 산업별 투자비중 : Proshares 참조 ]

 

회사별 Index sector weight

 

이번에는 어떤 회사에 비중을 많이 넣고 있는지 확인을 해봐야겠죠? 제가 좋아하는 애플에 투자비중이 가장 높고, 그 아래로 마소, 아마존, 테슬라, 구글 그리고 메타 등등 지금 가장 잘 나가는 회사들을 모아놓았네요.

 

 [ 회사별 투자비중 : Proshares 참조 ]

 

사실 우리들은 앞으로 5년 또는 10년뒤 어떤 회사가 우리의 수익률을 가장 높여줄지 알수가 없습니다. 그렇지만 TQQQ 는 위에 나열한 공룡기업에 대부분 투자를 하고 있고, 계속적으로 그 회사들을 잘나가는 회사로 변경을 합니다.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와 구독 부탁립니다. ^^

 

 

반응형

'기본이론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금리인상 영향 (나스닥지수)  (2) 2022.01.25
Leveraged ETF 란? QQQ, TQQQ  (2) 2022.01.14
ETF 란?  (0) 2022.01.13
2022년 1분기 루시드 주식 전망  (2) 2022.01.07
이동평균선 (Moving average) 지표란?  (2) 2022.01.05
반응형

안녕하세요. 가치있는 데싸를 꿈꾸는 달리는 조조 입니다.

 

지난번에 이어서, ETF 관련해서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지난번에는 전반적인 ETF 에 대해서 설명을 했다면 이번에는 레버리지 ETF 에 관련해서 설명 및 실제 QLD 또는 TQQQ 로 분석을 설명드릴께요.

 

레버리지 의미

 

우선 QQQ 는 나스닥 지수를 추종하는 ETF 로 1배수 입니다. 레버리지 X2 (QLD) 또는 X3 (TQQQ) 를 해서, QQQ 가 오를때는 2배수 또는 3배수로 오른다고 보시면 될 것 같네요.

 

레버리지 의 장점

 

앞서 말한것처럼, 1배수로 오는 것보다 당연히 2배 또는 3배수로 오른다면 우리에게 높은 Profit 을 가져다 줄것입니다. 물론 오른다는 전제입니다. 그렇지만, 우리가 생각하는 QQQ 는 미국의 나스닥 지수에 투자하는 것이므로, 장기투자 입장에서는 계속 오를수 있다는 점이겠죠.

 

레버리지 의 단점

 

위에서는 장점만 나열했는데, 당연히 단점도 있겠죠. 

떨어질때는 또 무섭게 떨어집니다. 그래서, 단기투자 및 변동성에 스트레스를 받으시는 분들은 그냥 QQQ 를 하시는게 나을 것 같네요. 그리고, 만약 미국 대공황과 같은 대폭락을 겪게 되면, 이게 원금을 회복하기 쉽지 않게 됩니다. 그 이유는 위에서 언급한대로 1배수로 떨어지는게 아니고 2배수 또는 3배수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매수를 하실때, 제 생각에는 무지성 투자보다는 저점투자를 권장드립니다.

 

레버리지 의 종류

 

제가 요즘 보고 있는 미국 ETF 만 설명드리고자 하는데, 특정 2개를 보고 있습니다. TQQQ (나스닥지수 X3) 그리고 SOXL (반도체지수 X3) 입니다. 간단히 QQQ (X1) 와 TQQQ (X3) 를 비교해볼께요.

 

아래는 QQQ , TQQQ 5년치를 가지고 와봤습니다.

우선 수익률 먼저 비교해볼까요?

QQQ: 298.52%

TQQQ: 2051.59%

 

[ 5년동안의 QQQ 수익률 ]

 

[ 5년동안의 TQQQ 수익률 ]

 

ETF 매수타이밍

 

그럼 가장 궁금하신게, 언제 들어가야 제일 고수익을 낼 수 있을까요? 매월 적립식 매수일까요 아님 그때 그때 나름 저점에서 매수하는게 좋을까요? 당연히 저점매수 시점만 알면 그게 최고겠죠? 어차피 ETF 에 투자하시는건 단기투자가 아닌 장기투자 입니다. 그래서, 저점매수 타이밍에 대해서 2가지 방법을 알려드릴까 합니다.

 

첫번째로는 이동평균선으로 보는 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20일선 , 60일선 그리고 120일선을 보고 있죠. 저도 이 부분에 동의합니다. 그렇지만, 좀 더 참을성이 있으시면 60일선, 100일 그리고 120일선을 추천드립니다. 아래의 예제를 보시는게 좀 더 이해도가 높으실 것 같네요.

2017년부터 현재까지 총 9번의 신호를 주었네요. 이렇게 이동평균선을 이용해서 나름 저점에서 매수를 하시면, 같은 기간이라고 하더라도 수익률의 차이가 많이 나겠죠? 최근에도 매수신호를 한번 주었습니다. 올 한해 변동성도 크고, 기회도 많을 것 같으니 성투하시길 바랄께요.

 

[ 100일 이동평균선에 따른 매수시점 ]

 

두번째로는 피보나치 되돌림을 이용한 저점확인입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0.5 (50%) 와 0.618 (61.8%) 를 저점으로 보고 있고, 그 지점에서 매수를 하시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주가가 올라가실때 사는게 아니고, 일종의 지지선 개념으로 이용해서,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최근 3개월내에서 봤을때, 2번의 매수 기회가 있었네요.

 

해당 이론이 궁금하시면, 아래의 블로그를 참고하세요.

Fibonacci Retracement (피보나치 되돌림) 지표란? :: 가치있는 데싸 (tistory.com)

 

Fibonacci Retracement (피보나치 되돌림) 지표란?

안녕하세요. 가치있는 데싸를 꿈꾸는 달리는 조조 입니다. 제가 그동안 주식관련해서, 분석을 진행하고 있고 실제 투자까지 하고 있는데, 제 분석에 대한 이론 및 기본적인 주식차트 분석에 대

running-ds.tistory.com

 

[ 피보나치 되돌림에 따른 매수시점 ]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와 구독 부탁립니다. ^^

 

 

반응형

'기본이론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금리인상 영향 (나스닥지수)  (2) 2022.01.25
TQQQ (X3) 산업 및 회사비중  (0) 2022.01.14
ETF 란?  (0) 2022.01.13
2022년 1분기 루시드 주식 전망  (2) 2022.01.07
이동평균선 (Moving average) 지표란?  (2) 2022.01.05
반응형

안녕하세요. 가치있는 데싸를 꿈꾸는 달리는 조조 입니다.

 

요즘 핫한 ETF 에 관련해서 얘기해볼까 합니다. 저 또한 ETF 를 눈여겨보고 있지 않다가, 요새같은 변동성이 클 때는 특정회사를 하는 것도 괜찮지만, 지수펀드도 좀 더 안정적일 것이라고 생각이 되어지네요. 얼마전 들어갔어야 하는데, 못들어가서 다시 저가매수 시점을 보고 있습니다. ^^

 

ETF 의미

 

ETF 란 상장지수 펀드라고 해서, Exchange-Traded fund 라고 합니다. 이해하기 쉽게 거래 목적의 투자신탁 펀드상품이라고 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

 

ETF 의 장점

 

말 그대로 다수의 채권, 주식, 원자재 각각의 ETF 의 특성에 맞게 투자를 하기 때문에, 나름 분산투자의 개념으로 접근하시는게 좋을 것 같네요. 예를 들어서, 미국 ETF 에서 유명한 SPY (S&P500 지수) 와 QQQ (나스닥지수) 를 예로 들어볼께요. SPY 는 S&P500 지수에 투자하고 있는데, S&P500 의 회사들의 주가가 올라간다면 SPY 주가도 올라가겠죠. 다시말해서, 특정회사가 아닌 특정 항목을 목적에 맞게 투자를 하게되니, 좀 더 안정적이라고 볼 수 있네요.

 

ETF 의 단점

 

위에서는 장점만 나열했는데, 당연히 단점도 있겠죠. 수익률이 단일종목 투자 대비 적겠죠. 그래서, 충분한 Seed money 가 있으시면, 그냥 장기투자 입장에서 잊어버리시기에 좋을 것 같네요.

 

ETF 의 종류

 

제가 요즘 보고 있는 미국 ETF 만 설명드리고자 하는데, 특정 2개를 보고 있습니다. SPY 와 QQQ 는 이미 너무 많이 올라있고, 수익률도 보니 투자기간 대비 그렇게 만족할 수준이 아니여서...저는 X2 Leveraged 쪽으로 QLD (나스닥지수 2배 레버리지) 와 USD (반도체지수 2배 레버리지) 를 보고 있습니다. 물론 레버리지 특성상 high risk 이긴 한데, 앞으로 미국시장이 계속 우상향한다고 한다면, 좋은 수익률을 보일 수 있을 것 같네요. 참고로, 레버리지는 Robinhood apps 에서는 장기투자용으로 추천하지는 않는것 같네요. 아마도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그런것 같네요.

 

아래는 QQQ , QLD 와 USD 5년치를 가지고 와봤습니다.

우선 수익률 먼저 비교해볼까요?

QQQ: 284.89%

QLD: 871.88%

USD: 1597.5%

 

선택은 각자의 투자방식에 따라서 선택하시면 좋을 것 같네요.

 

[ 5년치 QQQ 수익률 ]

 

[ 5년치 QLD 수익률 ]

 

[ 5년치 USD 수익률 ]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와 구독 부탁립니다. ^^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가치있는 데싸를 꿈꾸는 달리는 조조 입니다.

 

어제 굉장히 큰 폭으로 나스닥 지수 및 S&P500 이 하락한 것을 보셨을 겁니다. 가장 큰 이유가 작년에 FOMC 에서 논의 되었던 기록이 일부 공개된 것인데요, 대차대조표 축소를 할 수도 있다는 것을 논의했다고 하네요. 그래서, 인플레이션, 금리 인상등 우리가 알고 있던 악재는 더이상의 악재가 아닌데, 대차대조표 이건 다들 예상을 못했던 것 같습니다. 저 또한 멘탈이 좀 붕괴되긴 했지만, 루시드의 Fundamental 을 믿고 있기 때문에, 저점매수 타이밍이라고 생각을 했습니다.

 

그래서, 여러분들에게 한가지 지표를 보여주고자 합니다. 저는 오늘 나름 저점지점 $35.7 그리고 34.7 에 추가매수를 했는데, 아래 지표를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nd level 로 표시되서, $35.7 이 보이실꺼에요. 피보나치 되돌림에서 황금비율 중에 가장 많이 쓰이는 61.8% 에 적용되는 지점이고, 이 지점 밑으로 돌파가 된다면, 다시 지지선을 그려야 하지만, 어제 내려갔다가 다시 반등을 해줬습니다. 사실 루시드는 락업이라는 악재가 하나 더 남아있지만, 만약 $35 밑으로 내려가더라도 빠르게 반등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우리는 자기만의 저점을 만든 후 추가매수를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피보나치 되돌림에 대해서는 아래 블로그를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Fibonacci Retracement (피보나치 되돌림) 지표란? :: 가치있는 데싸 (tistory.com)

 

Fibonacci Retracement (피보나치 되돌림) 지표란?

안녕하세요. 가치있는 데싸를 꿈꾸는 달리는 조조 입니다. 제가 그동안 주식관련해서, 분석을 진행하고 있고 실제 투자까지 하고 있는데, 제 분석에 대한 이론 및 기본적인 주식차트 분석에 대

running-ds.tistory.com

 

 

 

연준, 대차대조표 축소 논의 개시…양적긴축 시작되나 - 연합인포맥스 (einfomax.co.kr)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와 구독 부탁립니다. ^^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가치있는 데싸를 꿈꾸는 달리는 조조 입니다.

제가 그동안 주식관련해서, 분석을 진행하고 있고 실제 투자까지 하고 있는데, 제 분석에 대한 이론 및 기본적인 주식차트 분석에 대한 정보가 없어서 보시기 힘드셨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제가 이해한 부분에 대해서 간단히 분석방법을 기록하고자 합니다. 참고로, 저는 기술적 분석에 집중을 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Moving average (이동평균선) 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합니다. 어찌보면, 주식차트에서 제일 흔하게 볼 수 있고,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술적분석입니다. 또한 직관적으로 볼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주식 초보자들에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지표이기도 하고요. 그렇다면, 좀 더 자세하게 이동평균선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이동평균선 의미

 

이동평균선이란 이전 몇일간의 평균 주가를 가지고 그리는 평균선입니다. 일반적으로 주식에서는 5, 10, 20, 60, 120 일선을 가장 많이 쓰고 있습니다. 단기 이동평균선이라고 해서 5, 10 그리고 20일선을 지칭하고 있고, 중/장기 이동평균선은 60 그리고 120일선이 있습니다.

 

이동평균선을 이용한 Golden cross 그리고 Dead cross 는 무엇일까?

 

이동평균선을 실전에 사용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이론을 알아야 하는데 그것이 골든크로스 그리고 데드크로스 입니다. 다시 보조지표들 보다 좀 더 직관적으로 표현을 하다보니, 더 쉽게 볼 수 있고 그리고 어렵지 않은 이론이라서 하나하나씩 따라오시면 이해하기 쉬우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마이크로소프트 사의 1년치 주가를 가지고 왔습니다. 작년 한해 마이크로 소프트는 51% 에 엄청난 상승률을 보여주었는데요, 여기서 주목할 점은 결과론적으로는 51%가 증가됐지만, 1년 사이 사이에 주가 하락 또는 고점등이 눈에 띄게 보이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저점에서 주식을 매수해서 고수익 창출하는게 목적이겠죠.

 

[ 마이크로소프트 1년 주가 ]

 

그럼 마지막 네모박스를 줌인 해서 자세히 보겠습니다. 아래의 주가에서 보듯이, 우리는 Dead cross 시점과 Golden cross 시점으로 나눌수 있습니다. 그러면 무슨 기준을 가지고 나눌까요? 일반적으로, 가장 큰 요인은 5일 이동평균선이 10일 또는 20일 선을 돌파했냐 안했냐로 구분을 합니다. 예를 들어서, Dead cross 가 시작할 시점에서 5일 이동평균선이 10일 이동평균선을 하향돌파한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시점부터 주가는 하락세에 들어갔고, Golden cross 가 시작하기 전까지 5일 이동평균선은 10일 이동평균선을 돌파하지 못했습니다. 반대로, Golden cross 는 5일 이동평균선이 10일 또는 20일 이동평균선을 상향돌파한 시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Golden cross vs. Dean cross ]

 

가장 기본적이면서, 중요한 기술적분석 중에 하나인 이동평균선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것만 잘 보셔도, 최대한 손실없이 수익보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반응형

'기본이론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 란?  (0) 2022.01.13
2022년 1분기 루시드 주식 전망  (2) 2022.01.07
Fibonacci Retracement (피보나치 되돌림) 지표란?  (1) 2022.01.05
Money Flow Index (MFI) 지표란?  (0) 2022.01.04
현금흐름표(Cash flow) 란?  (1) 2021.12.3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