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퀀트분석을 통한 경제적자유를 꿈꾸는 달리는 조조 입니다.

 

원래는 매수 및 매도시점에만 퀀트분석 후 업데이트를 하려고 했는데, 현상황에 대해서 이해를 하셔야 대응이 가능할 것 같아서, 짧게나마 견해를 남깁니다. 참고로, 저는 특정종목 및 투자를 추천하지 않습니다. 단지 주식시장에서 어떤 식으로 대응을 해야 안 물리는지에 대해서 제가 직접 실험해보고, 어떤식으로 빠져나가는지 보여드리고자 블로그를 하는 것입니다.

 

오늘 현재 CPI 결과를 기다리는 중인데, 미국 지수는 굉장히 높은 반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시장 기대치가 CPI 가 낮게 나올 것이라고 생각해서 그런지 주가가 선반영하는 느낌으로 올라가고 있습니다. 최근 제가 퀀트분석으로 CHPT 와 TQQQ 를 각각 매수를 진행했었고, 지금 현재 단계가 어떤지 간단히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우선 각각 CHPT 와 TQQQ 는 -30 ~ -40% 정도로 다 물려있는 상황입니다. 제가 생각하는 퀀트분석에 의하면, 3~4번 정도 스윙투자를 하게 되면, 빠져나올 수 있다고 판단이 됩니다.

 

CHPT 는 현재 매수시점 대비 +11% 정도 올라갔고, TQQQ 는 +5% 정도 올라갔네요.

그럼 퀀트분석상 현재 상황은 어떨까요? 간략히 분석데이터를 확인해봤는데, 완벽한 매수시점이 아닙니다. 5분봉, 15분봉 그리고 30분봉 모두 골든크로스가 나왔고, 아직 추세가 꺽이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볼린저밴드, SP500, RSI, 피보나치 지표등등 모든 지표가 비슷한 방향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참고로 저는 파란색 화살표 지점에서 각각 매수했습니다.

 

[ TQQQ 분봉별 분석 ]

 

CHPT 도 TQQQ 와 크게 다르지 않은 형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모든 지표가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고, CPI 발표 후 상황을 봐야 할 것 같습니다. CHPT 는 딱 한번 매수를 진행했습니다.

 

[ CHPT 분봉별 분석 ]

 

사실 저도 퀀트분석 프로그램의 알고리즘을 계속 변경해보고, 시험해보고 있는 단계라서 최대한 바닥에서 매수를 하면 좋은데, 지금은 과도기라고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TQQQ 와 CHPT 처음에 매수한 시점이 바닥은 아니지만, 무릎정도에서 매수했다고 판단이 되어지고, TQQQ 의 매수지점은 거의 발목정도에서 매수한 시점입니다. 점점 더 알고리즘이 보완이 된다면, 높은 승률을 보일 것이라고 생각이 되고, 후에는 모든종목이 (+) 전환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개인적인 올해 목표는 모든 종목이 (-) 수익률에서 (+) 수익률로 만드는 것입니다.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와 구독 부탁립니다. ^^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퀀트분석을 통한 경제적자유를 꿈꾸는 달리는 조조 입니다.

 

2023년 첫 CPI 발표가 이번주로 다가왔습니다. 오늘 월요일 장에서 굉장히 급등이 나오면서, CPI 발표때 (1.12) 까지 이 상승세를 이어가지 않을까 싶습니다. 제 개인적인 견해는 퀀트분석상 6.5 정도로 예측치가 나왔고, 만약 시장 예측인 6.7 보다 적게 나온다면, 단기적인 급등이 나올 것 같습니다. 연준에서 50bp 가 아닌 25bp 를 고려할 수 있기 때문에, 시장은 환호할꺼고, 그게 주가로 반영이 될 것 입니다. 우선 CPI 발표때까지 지금의 상황을 지켜보시면서, 그에 맞게 대응하시면 됩니다.

 

저는 CHPT 와 TQQQ 물린 주식을 탈출하고자, 퀀트분석에서 신호를 준 시점에 매수를 했고, 현시점 기준으로 두 주식 모두 양전환 되었습니다. 이제 이 상황을 보면서, 매도신호를 주면 할 계획입니다. 당분간 신호가 안 나올꺼 같긴하지만, 상황이 또 변경되면, 이렇게 나마 업데이트를 드리겠습니다.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와 구독 부탁립니다. ^^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퀀트분석을 통한 경제적자유를 꿈꾸는 달리는 조조 입니다.

 

우선 저는 퀀트분석을 기반으로 물린 주식들을 차례차례 정리하면서, 탈출할 계획이고 전반적인 경제상황을 시간적인 여유가 없어서, 유튜브를 통해서 해결하고 있습니다.

CHPT 와 비슷한 시점에 TQQQ 도 매수 기회가 왔었고, 저는 2번의 분할매수를 했습니다.

왜 제가 매매를 했는지 공유하고자 합니다.

 

[분석 방법]

1. 퀀트분석 (Golden/Death Cross, S&P500, MACD, Bollinger band, RSI 그리고 Fibonacci S&R)

2. 매물대 및 RSI 다이버젼스

 

1. 퀀트분석

 

12월21일 (파란색 box) 10주 TQQQ 를 매수했고, 당시 매수 금액을 $19.06 로 최저금액은 아니였지만, 아래의 퀀트분석시 TQQQ 주가 및 S&P500 이 Bearish 한 부분을 감안했고, 피보나치 지수 (76.4%) 그리고 RSI 상 매수 signal 을 주었습니다. 그러나 볼린저밴드가 살짝 튀어오른 지점이여서, 완벽한 타이밍은 아니였지만, 투자금의 30% 매수했습니다. 그 후에 12월30일 (초록색 box) 5주 추가 매수했고, 당시 매수 금액은 $16.74 입니다. 이시점도 12월21일 시점과 비슷한 분석결과 였고, 볼린저밴드에 대한 부분은 살짝 애매하지만 나머지 기준들이 매수하기 나쁘지 않은 타이밍이였습니다.

시간이 지난 현시점에서(01/05) 기준에서 여전히 횡보중이고, 볼린저밴드는 매수시점보다 더 많이 튀어오른 시점이라서 당분간 시기를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 TQQQ 퀀트 분석 ]

2. TQQQ 매물대 및 RSI 다이버젼스

 

2022년 한해 TQQQ 매물대는 크게 3 구간으로 나누어지는 것 같습니다. $18 , $22 그리고 $26불 대입니다. 현재 저희 위치는 $35불대 임으로, 여전히 갈길이 멀지만, 스윙투자로 3~4번정도 하면, TQQQ 는 탈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RSI 도 상승다이버젼스가 나왔기 때문에, 우선 당분간 상승 모멘텀이 있어 보입니다.

[ TQQQ 매물대 및 RSI 다이버젼스 ]

 

TQQQ는 현재 $16~$17 횡보중인데, 아직 추가 매수신호는 없는 상황입니다. 1월 12일 CPI 발표후 주가의 향방이 바뀌지 않을까 하지만, 저는 온전히 퀀트분석으로 대응을 해서 수익이 가능한지 확인하고자 합니다.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와 구독 부탁립니다. ^^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퀀트분석을 통한 경제적자유를 꿈꾸는 달리는 조조 입니다.

 

우선 저는 퀀트분석을 기반으로 물린 주식들을 차례차례 정리하면서, 탈출할 계획이고 전반적인 경제상황을 시간적인 여유가 없어서, 유튜브를 통해서 해결하고 있습니다.

먼저, 여러 개의 주식이 물려있는 상황에서, Charge point (CHPT) 가 먼저 매수 기회가 와서 왜 제가 매매를 했는지 공유하고자 합니다.

 

[분석 방법]

1. 퀀트분석 (S&P500, MACD, Bollinger band, RSI 그리고 Fibonacci S&R)

2. 매물대 및 RSI 다이버젼스

 

1. 퀀트분석

 

12월21일 (회색 box) 13주 CHPT 를 매수했고, 당시 매수 금액을 $9.66 로 최저금액은 아니였지만, 아래의 퀀트분석시 CHPT 주가 및 S&P500 이 Bearish 한 부분을 감안했고, bollinger band 및 RSI 상 매수 signal 을 주었습니다. 또한 Fibonacci 로 비율로도 0.764 매수하기 나쁘지 않은 타이밍이 였다고 생각합니다. 시간이 지난 현시점에서(12/31) 기준에서 봤을때도, 바닥 터치후 다시 $9.6 까지 올라왔고, 다음주에도 상승 모멘텀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 CHPT 퀀트 분석 ]

2. CHPT 매물대 및 RSI 다이버젼스

 

2022년 한해 CHPT 매물대는 크게 3 구간으로 나누어지는 것 같습니다. $12 , $14 그리고 $16불 대입니다. 현재 저희 위치는 $16불대 임으로, 여전히 갈길이 멀지만, 스윙투자로 2번정도 하면, CHPT 는 탈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RSI 도 상승다이버젼스가 나왔기 때문에, 우선 당분간 상승 모멘텀이 있어 보입니다.

[ CHPT 매물대 및 RSI 다이버젼스 ]

 

CHPT 는 당분간 매수는 Hold 하고 매도 타이밍을 볼려고 합니다. 만약 그 전에 상승 모멘텀이 끊긴다면, 손절 타이밍을 보면서, 손실을 피하고자 합니다.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와 구독 부탁립니다. ^^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퀀트분석을 통한 경제적자유를 꿈꾸는 달리는 조조 입니다.

 

저는 2021년 말부터 (최대 호황기) 주식을 시작해서, 지금 모든 주식이 물려있는 상황입니다. 2022년 한해동안 계속된 하락장을 저같은 초보 주식투자자가 피해갈 수 있는 장이 아니였습니다. 저 또한 현재 50% 가까운 손실을 기록하고 있고, 이 상황이 발생한 것에 대한 부분을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우선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습니다.

 

1. 무작정 장기투자는 굉장히 위험한 발상이다.

▶ 2022년 한해 많은 유튜버들이 장기투자에 대한 부분을 강조를 많이 했고, 저 또한 그렇게 믿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2022년 한해동안 계속된 하락장은 장기투자자 입장에서 굉장히 참기 힘든 부분들이였습니다.

 

2. 계속된 하락장에서도 시장은 몇번의 기회를 줬지만, 그 기회를 보려고 하지 않았다.

▶ 1번과 비슷한 맥락인데, 2022년 계속된 하락장이라고 하지만, 그래도 몇번의 스윙투자를 할수 있는 기회를 시장을 주었습니다. 그렇지만, 계속해서 수량을 모으는게 맞다고 생각을 하고 단기적으로 매도를 하지 않은게 이렇게 많은 손실을 유발 시킨 것 같습니다.

 

3. 한 두개의 보조지표에 의지를 하면 안된다.

▶ 당시 투자를 시작했을때, 한 두개의 보조지표를 맹신해서, 투자를 하게 되었습니다. 당연히 아무것도 모르는 것 보다는 좀 나을 수는 있겠지만, 잘못된 믿음이 얼마나 무서운지 이번 하락장에서 깨닫게 되었습니다.

 

4. 뇌동매매 및 추격매매를 하면 안된다.

▶ 주가가 생각보다 너무 많이 빠졌을때마다 매수를 한다거나, 갑자기 주가가 반등을 하면서 추격매매를 하는 경우도 다소 있었습니다. 확고한 원칙이 없다보니, 이러한 잘못을 계속 저지르게 되었습니다.

 

2023년에는 개인적으로 물린 주식들을 하나씩 정리하면서, 수익률을 -50% ▷ 0% 만드는게 1차 목표입니다. 위와같은 실수를 범하지 않으면서, 퀀트분석을 통해서 탈출을 해보려고 합니다. 저와 비슷한 경우로 투자에 힘드신 분들에게도 좋은 정보가 되었으면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가치있는 데싸를 꿈꾸는 달리는 조조 입니다.

제가 그동안 주식관련해서, 분석을 진행하고 있고 실제 투자까지 하고 있는데, 제 분석에 대한 이론 및 기본적인 주식차트 분석에 대한 정보가 없어서 보시기 힘드셨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제가 이해한 부분에 대해서 간단히 분석방법을 기록하고자 합니다. 참고로, 저는 기술적 분석에 집중을 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Moving average (이동평균선) 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합니다. 어찌보면, 주식차트에서 제일 흔하게 볼 수 있고,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술적분석입니다. 또한 직관적으로 볼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주식 초보자들에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지표이기도 하고요. 그렇다면, 좀 더 자세하게 이동평균선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이동평균선 의미

 

이동평균선이란 이전 몇일간의 평균 주가를 가지고 그리는 평균선입니다. 일반적으로 주식에서는 5, 10, 20, 60, 120 일선을 가장 많이 쓰고 있습니다. 단기 이동평균선이라고 해서 5, 10 그리고 20일선을 지칭하고 있고, 중/장기 이동평균선은 60 그리고 120일선이 있습니다.

 

이동평균선을 이용한 Golden cross 그리고 Dead cross 는 무엇일까?

 

이동평균선을 실전에 사용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이론을 알아야 하는데 그것이 골든크로스 그리고 데드크로스 입니다. 다시 보조지표들 보다 좀 더 직관적으로 표현을 하다보니, 더 쉽게 볼 수 있고 그리고 어렵지 않은 이론이라서 하나하나씩 따라오시면 이해하기 쉬우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마이크로소프트 사의 1년치 주가를 가지고 왔습니다. 작년 한해 마이크로 소프트는 51% 에 엄청난 상승률을 보여주었는데요, 여기서 주목할 점은 결과론적으로는 51%가 증가됐지만, 1년 사이 사이에 주가 하락 또는 고점등이 눈에 띄게 보이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저점에서 주식을 매수해서 고수익 창출하는게 목적이겠죠.

 

[ 마이크로소프트 1년 주가 ]

 

그럼 마지막 네모박스를 줌인 해서 자세히 보겠습니다. 아래의 주가에서 보듯이, 우리는 Dead cross 시점과 Golden cross 시점으로 나눌수 있습니다. 그러면 무슨 기준을 가지고 나눌까요? 일반적으로, 가장 큰 요인은 5일 이동평균선이 10일 또는 20일 선을 돌파했냐 안했냐로 구분을 합니다. 예를 들어서, Dead cross 가 시작할 시점에서 5일 이동평균선이 10일 이동평균선을 하향돌파한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시점부터 주가는 하락세에 들어갔고, Golden cross 가 시작하기 전까지 5일 이동평균선은 10일 이동평균선을 돌파하지 못했습니다. 반대로, Golden cross 는 5일 이동평균선이 10일 또는 20일 이동평균선을 상향돌파한 시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Golden cross vs. Dean cross ]

 

가장 기본적이면서, 중요한 기술적분석 중에 하나인 이동평균선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것만 잘 보셔도, 최대한 손실없이 수익보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반응형

'기본이론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 란?  (0) 2022.01.13
2022년 1분기 루시드 주식 전망  (2) 2022.01.07
Fibonacci Retracement (피보나치 되돌림) 지표란?  (1) 2022.01.05
Money Flow Index (MFI) 지표란?  (0) 2022.01.04
현금흐름표(Cash flow) 란?  (1) 2021.12.31
반응형

안녕하세요. 가치있는 데싸를 꿈꾸는 달리는 조조 입니다.

제가 그동안 주식관련해서, 분석을 진행하고 있고 실제 투자까지 하고 있는데, 제 분석에 대한 이론 및 기본적인 주식차트 분석에 대한 정보가 없어서 보시기 힘드셨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제가 이해한 부분에 대해서 간단히 분석방법을 기록하고자 합니다. 참고로, 저는 기술적 분석에 집중을 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Fibonacci Retracement 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합니다. 풀어서 설명하자면, Fibonacci Retracement (피보나치 되돌림) 이라고 해서, support level (지지선) 또는 resistance level (저항선) 을 결정하기 위한 기술적 분석지표 입니다. 기본적으로 피보나치 수열을 이용해서, 주식 시장에 활용하는 방법이라서 위와 같이 피보나치 되돌림 이라고 이름을 지었네요.

 

피보나치 수열 의미

 

피보나치 수열이란 13세기 수학자 (Fibonacci)가 발견한 일련의 숫자로 파생된 수열입니다. 피보나치 수열은 0, 1, 1, 2, 3, 5, 8, 13 ...etc 입니다. 피보나치 수열은 황금비라고 말하기도 하고요...또한 자기닮음성이나 프랙탈 효과와 연관이 있다고 하네요. 이를 주식에 접목을 시켜서 설명하는 엘리어트 파동이론 (Elliott wave theory) 에서 진행된다고 하네요.

 

주식에서 피보나치 되돌림이란?

 

주식시장에 Fibonacci retracement (피보나치 되돌림) 을 접목시켜서, 황금비율은 23.6%, 38.2%, 50.0% 그리고 61.8% 라고 합니다. 해당 비율을 이용해서, 저점매수 및 고점매도 또한 지지선 과 저항선도 같이 볼 수 있습니다. 위에 언급한 비율이 어떨때는 Support level (지지선) or Resistance level (저항선) 이 되기도 합니다. 만약 주가가 100% (min price) 를 하향 돌파하면, 새로운 지지선 또는 저항선을 설정을 다시 해줘야 합니다.

 
Tesla 주가를 이용한 실전응용

아무래도 실제 주가를 보고, 피보나치 되돌림을 적용해야 이해가 빠르겠죠. 최근 핫한 테슬라를 가지고 적용해보겠습니다. 10월초부터 11월 초까지 무섭게 $1200을 돌파했었죠. 그리고 살짝 떨어진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피보나치 기술적분석을 적용해보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min price 를 10월 초 그리고 max price 를 11월 초로 설정하고, 주식에서 많이 쓰이는 50% (1st temporary support level) 그리고 61.8% (2nd temporary support level) 설정하겠습니다. 만약 해당 지지선을 뚫고 올라가는 상승세가 시작되면, 그때가 매수 타이밍이라고 보면 될 것 같네요.

 

[ Fibonacci Retracement 기술적 분석 : 50% 그리고 61.8% 설정 ]

 

최근 주가로 확인해볼까요? 12월 중순까지 쭉 빠지다가 61.8% 돌파를 했고, 그리고 바로 다음날 50% 까지 돌파했네요. 이때 매수를 하셨으면, 완전 최저점은 아니지만 어느정도 괜찮은 수익률을 기록하지 않았을까 하네요. 만약 max or min price 가 뚫리는 일이 생겼다면, 새로운 지지선과 저항선을 다시 설정해줘야 합니다.

 

[ Fibonacci Retracement 기술적 분석 : 최근 주가 ]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서, 다소 복잡하거나 어려울수는 있지만 저같은 경우에는 현재 주가에서 얼마나 주가가 하향 할지에 대한 support level 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른 기술적 분석지표들은 매수 매도 타이밍은 간접적으로 알려주지만, support level 을 시각적으로 잘 알려주는 건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가치있는 데싸를 꿈꾸는 달리는 조조 입니다.

제가 그동안 주식관련해서, 분석을 진행하고 있고 실제 투자까지 하고 있는데, 제 분석에 대한 이론 및 기본적인 주식차트 분석에 대한 정보가 없어서 보시기 힘드셨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제가 이해한 부분에 대해서 간단히 분석방법을 기록하고자 합니다. 참고로, 저는 기술적 분석에 집중을 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MFI 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합니다. 풀어서 설명하자면, MFI (Money Flow Index) 라고 해서, RSI 에 거래량이 포함된 기술적 분석의 보조지표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MFI (Money Flow Index)는 주식의 가격과 거래량을 사용하여 주식이 과잉 매도인지 과잉 매수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기술적 지표입니다. 이는 주가의 모멘텀이 변경된다는 Indicator로 사용되며, RSI와 동일하게 0에서 100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RSI와는 달리, MFI는 주가와 거래량 데이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술적 분석가들은 MFI를 거래량이 가중된 RSI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기본적으로 MFI 는 아래와 같은 공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MFI = 100 - ( 100 / (1+MFR) )

Average Price = (High price + Low price + Close price) / 3

RMF = Average Price x Volume

MFR = Positive RMF of 14 days period / Negative RMF of 14 days period

 

 

MFI 지표 해석하는 방법

+ 대체로 MFI 가 높아지면, 주가는 상향하는 경향.

 

+ 일반적으로 MFI 를 분석할때, 20 과 80 에 보조선을 설정하고 분석을 합니다.

 

+ MFI 값이 20 이상구간은 과매도 구간 (매수 준비) 그리고 80 이하구간은 과매수 구간 (매도 준비)

 

+ 간혹 MFI 값이 10이하 또는 90이상으로 설정하는 경우도 있음. 그렇지만, 이 경우에는 시장 흐름상 자주 나타나지 않아서, 저점매수 타이밍을 가지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좀 더 안전한 법칙일 수 있다.
+ MFI 값이 50 을 상향 돌파 ->  주가는 상승추세로 진입 (2nd option)
+ MFI 값이 50 을 하향 돌파 -> 주가는 하락추세로 진입 (2nd option)
 

MFI 와 RSI 의 차이점

+ 가장 큰 차이점은 거래량을 포함했느냐 (MFI) 아니면, 주가만 가지고 분석을 하느냐 (RSI) 입니다.
 
+ MFI 가 RSI 보다 상대적으로 더 시기적절하게 신호를 제공
 

Case.1 의 경우를 들어서, 최근 Microsoft 사의 주식으로 보고자 합니다. 작년 9월 중순경 MFI 가 20% 이하로 떨어진 지점에서 저점매수 타이밍을 한번 알려주었고, 확실한 매수 타이밍으로는 10월초중순에 한번 더 알려주었습니다. 그리고 TR level 50%를 넘어가면서, 주가가 11월 중순까지 계속오르다가 후에 횡보하는 주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MFI 지표에서 보여주는 지수를 통해서, 저점에서 매수를 하고 고점에서 파는 방법도 괜찮고, 아니면 저점매수용 분석으로만 활용하셔도 좋을 것 같네요.

 

[ MFI 기술적 분석 ]

 

그러면, Case.2 의 경우를 들어서, 괴리도 (Divergence) 구간을 보고자 합니다. 위에 지표에서 보듯이 8월 중순부터 9월초 까지 MFI 지수는 계속 떨어지면서 TR level 50% 구간까지 접근하는데, 주가는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네요. 이러한 부분은 현재 주가의 반전시키면서 역전할 수 있는 신호입니다.

 

그래서, MFI 보조지표를 활용해서, 매매신호를 손쉽게 확인하실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렇지만, 하나의 보조지표를 가지고 매매를 하시기 보다는 다른 보조지표도 활용해서 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가치있는 데싸를 꿈꾸는 달리는 조조 입니다.

제가 그동안 주식관련해서, 분석을 진행하고 있고 실제 투자까지 하고 있는데, 제 분석에 대한 이론 및 기본적인 주식차트 분석에 대한 정보가 없어서 보시기 힘드셨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제가 이해한 부분에 대해서 간단히 분석방법을 기록하고자 합니다. 참고로, 저는 기술적 분석에 집중을 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CCI 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합니다. 풀어서 설명하자면, CCI (Commondity Channel Index) 라고 해서, MACD 와 같이 대표적인 추세지표중에 하나라고 보시면 됩니다.

 

CCI 는 최근 주가가 평균주가의 이동평균과 얼마나 거리가 있는지를 표시하여, 추세의 강도와 방향을 나타내어 주는데, 주가가 한 방향으로 계속 움직일 경우에는 현재 주가가 이동평균과 멀리 떨어지게 되며, 이 경우 추세가 강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CCI 값이 클수록 추세가 강하고, 값이 작을수록 추세가 약하며, Positive 일때는 상승추세, Negative 일때는 하락추세 입니다.

 

기본적으로 CCI 는 아래와 같은 공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CCI = (M-n) / (0.015 x d)

M = (High price + Low price + Close price) / 3

n = M 의 N 기간동안의 SMA

d = (M-n)의 절대값의 N 기간 SMA

 

CCI 지표 해석하는 방법

+ CCI 는 아래와 같이 Histogram 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 일반적으로 빨간색 구간(histogram)에서 은색 구간으로 바뀔때, 매도 신호 (파란색 원) 입니다.
+ 반대로, 초록색 구간(histogram)에서 은색 구간으로 바뀔때, 매수 신호 (빨간색 원) 입니다.
+ CCI 값이 0 이라는 것은 현재 주가가 이동평균선과 일치한다는 뜻
+ 0 이라는 값이 추세의 방향성을 판단하는 기준선
+ CCI 값이 +100 이상구간은 과매수 구간 (매도 준비) 그리고 -100 이하구간은 과매도 구간 (매수 준비)
+ CCI 값이 0 을 상향 돌파 ->  주가는 상승추세로 진입 (2nd option)
+ CCI 값이 0 을 하향 돌파 -> 주가는 하락추세로 진입 (2nd option)
 

Case.1 의 경우를 들어서, 최근 UBER 로 보시는게 이해가 편하실 것 같습니다. 10월 20일 기점으로 CCI 가 빨간색에서 은색으로 바뀌었네요. 그리고, 12월 17일 기점으로 다시 주식을 매수하라는 신호를 주었네요. 만약 아래와 같이 매매를 하셨다면, 최소 20% 수익을 보셨을 것 같네요.

 

 

[ Case.1 : CCI 보조지표 ]

 

그러면, Case.2 의 경우를 들어서, Apple 로 보시는게 이해가 편하실 것 같습니다. 7월 중순에 매도신호를 주고, 8월중순까지 하락추세로 계속적으로 보이다가 8월21일 기점으로 반등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만약 그때 매수를 하셨고, 그 후에 9월10일쯤 매도를 하셨으면, 나름 수익을 보셨을 것 같네요. 근데, 개인적으로 Case.2 는 어느정도 고수분들이나 가능할 것 같고, 저는 잘 안 쓸것 같습니다. CCI 지표를 제외하고, 다른 보조지표에서는 매수신호로 보이는 부분이 애매했습니다.

 

[ Case.2 : CCI 보조지표 ]

 

그래서, CCI 보조지표를 활용해서, 매매신호를 손쉽게 확인하실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렇지만, 하나의 보조지표를 가지고 매매를 하시기 보다는 다른 보조지표도 활용해서 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반응형

'기본이론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금흐름표(Cash flow) 란?  (1) 2021.12.31
지지선과 저항선이란?  (0) 2021.12.30
주식 보조지표 종류 및 공포지수  (0) 2021.12.18
Bollinger Band (볼린저밴드) 란?  (0) 2021.12.18
MACD 지표란?  (0) 2021.12.18
반응형

안녕하세요. 가치있는 데싸를 꿈꾸는 달리는 조조 입니다.

제가 그동안 주식관련해서, 분석을 진행하고 있고 실제 투자까지 하고 있는데, 제 분석에 대한 이론 및 기본적인 주식차트 분석에 대한 정보가 없어서 보시기 힘드셨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제가 이해한 부분에 대해서 간단히 분석방법을 기록하고자 합니다. 참고로, 저는 기술적 분석에 집중을 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Bollinger Band (볼린저 밴드) 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합니다. 대표적인 변동성 지표중에 하나이며, 주가의 방향이 아닌 변동성을 기준으로 시각화한 지표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아직 제 기술적 분석 기법에는 추가가 되어 있지 않지만, 향후 Add-in 할 예정입니다. 아직 alpha version 시험 중에 있습니다.

 

볼린저 밴드를 구성하는 기준은 총 3가지로, high limit , low limit 그리고 mean 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밴드를 구성하는 3가지의 공식

high limit : 20일 MAV + (Standard diviation x 2)

low limit : 20일 MAV - (Standard diviation x 2)

Mean : 20일 MAV

 

Bollinger band 지표 해석하는 방법

+ 주가가 밴드 내에서 움직일 확률이 95% 라는 것.
+ 주가의 등락 폭이 적은 구간에서는 볼린저 밴드의 상-하한선 폭이 줄어듭니다. 이는 조만간 가격이 커다란 변동성을 보일 것이라는 뜻으로 해석 할 수 있습니다.
+ 반대로 주가가 상승 또는 하락세를 보일 경우, 변동성이 커지면서 볼린저 밴드의 상-하한선 폭이 늘어나게 됩니다. 이는 추세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시점이라고 해석하면 될 것 같습니다.
+ 주가가 볼린저 밴드를 벗어난 경우에는, 현재 주가가 기준선과 벌어진 상황이라고 보여주는 것이며, 현재의 주가가 반전될 확률이 높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 그렇지만, 바뀔때 바로 매매를 하시기 보다는 하루나 이틀정도 더 지켜보시고 하시면 좀 더 안정적으로 투자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러면, 예를 들어서 최근 Lucid 로 보시는게 이해가 편하실 것 같습니다. 10월 초 중순에 Low limit line 을 살짝 건려서, Buy signal 을 주었습니다. 그러나 만약 해당 시점에서 확신이 안 섰다면, 두번째 Signal 인 10월28일쯤 상-하한선의 폭이 넓어지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매수시점이라고 판단이 되는 부분입니다. 그러다가 11월 중순쯤 상한선을 살짝 건드리면서, 매도 신호를 주었는데 만약 이때 매도를 못하셨다면, 그 다음인 12월 1일쯤 한번 더 지지선이 무너지면서, 매도 신호를 주었습니다. 그리고 얼마 후 하하선을 건드리면서, 다시 매수 신호를 주었네요. 저도 해당 보조지표를 이용해서, 마지막에 하한선을 건드리는 지점...30불 중후반에 추가 저점매수를 했습니다.

 

그래서, Bollinger band 보조지표를 활용해서, 매매신호를 손쉽게 확인하실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렇지만, 하나의 보조지표를 가지고 매매를 하시기 보다는 다른 보조지표도 활용해서 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 Lucid vs. Bollinger band 보조지표 ]

 

반응형

'기본이론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CCI 지표란?  (0) 2021.12.21
주식 보조지표 종류 및 공포지수  (0) 2021.12.18
MACD 지표란?  (0) 2021.12.18
RSI 지표란?  (0) 2021.12.16
주식 거래량이란?  (0) 2021.12.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