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적자유를 꿈꾸는 Ash 입니다.

 

거시적인 경제관점에서 현재의 상황을 파악하는 좋은 지표들로 준비했습니다. 하나의 지표가 아닌 다양한 지표들을 한눈에 보면서, 투자전략을 세우시면 좋을 것입니다. 해당 자료들은 아래와 같이 있습니다.

 

1. 나스닥

2. S&P500

3. 미국채권

4. 미국금리

5. 10년물 금리

6. 10-2년물 단차

7. 미국-한국 원달러 환율

8. 국제유가

9. 공포지수 (VIX)

 

최대한 간단하면서, 깔끔하게 이해가 되게끔 공유를 드릴 예정입니다.

 

[ 미국 나스닥, S&P500 그리고 채권분석 ]

 

- 관점설명 -

 

1. 나스닥: 금일 나스닥은 12월말부터 진행된 하락이 여전히 진행중이고, 오늘 장중 말아올리면서, 상승을 할 수 있는 모멘텀을 보여주고 상승 마감했습니다.

 

2. S&P500: 전반적인 차트는 나스닥과 동일합니다.

 

3. 미국채권: 10년물 채권금리의 계속된 상승으로 TLT 가격이 계속된 하락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12월중순 이후에 데드크로스를 만든 이후, 계속된 하락을 보여주면서 상승 모멘텀이 적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미국금리, 10년물 금리 그리고 10-2년물 단차 ]

 

- 관점설명 -

 

4. 미국금리: 12월 마지막 25bp 하락후, 금리인하에 대한 부분이 축소된 상황입니다. 올해는 연준에서 2차례정도 금리인하를 제시했는데, 이마저도 현재 나오는 데이터들이 도와주지 않는 상황입니다.

 

5. 10년물 금리: 미국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 상실로, 계속된 10년물 가격상승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12월 중순 골든크로스를 만든 이후에 계속된 상승이기에 앞으로 5% 또는 그 이상을 기대하는 시장의 기대치가 있습니다.

 

6. 10-2년물 단차: 장단기 금리차가 이제 0.4 포인트까지 올라가는 상황이라서, 앞으로의 미국경제가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앞으로의 상황을 봐야겠지만, 장단기 금리차가 더 벌어질 경우에는 경기침체에 대한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 환율, 유가 그리고 공포지수 ]

 

- 관점설명 -

 

7. 환율: 한국의 정치상황도 있지만, 미국의 금리와도 밀접한 부분이 환율입니다. 현재 환율은 계속된 상승을 보여주고 있고, 현재는 1460원수준의 가격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환율도 골든크로스 이후에 계속된 상승을 보여주고 있어서, 상승 모멘텀이 많은 상황입니다.

 

8. 유가: 유가는 최근 몇개월 하락을 보여주다가 최근에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아직 우려할 수준은 아니지만, 앞으로의 국면에 따라 급격한 상승을 보여줄 여지가 있습니다.

 

9. 공포지수: 12월 중순 공포지수가 급격히 튀어오른후, 다시 원래 수준으로 돌아왔다가 12월 말 이후로 다시 올라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만큼 현재 시장에서 느끼는 공포가 심해지고 있다고 이해를 하시면 됩니다.

 

해당 관점 분석은 저의 개인적인 견해로 앞으로의 투자와 방향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으로, 투자에 대한 판단과 결과에 대해서는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모두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와 구독 부탁립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