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적자유를 꿈꾸는 Ash 입니다.

 

거시적인 경제관점에서 현재의 상황을 파악하는 좋은 지표들로 준비했습니다. 하나의 지표가 아닌 다양한 지표들을 한눈에 보면서, 투자전략을 세우시면 좋을 것입니다. 해당 자료들은 아래와 같이 있습니다.

 

1. 나스닥

2. S&P500

3. 미국채권

4. 미국금리

5. 10년물 금리

6. 10-2년물 단차

7. 미국-한국 원달러 환율

8. 국제유가

9. 공포지수 (VIX)

 

최대한 간단하면서, 깔끔하게 이해가 되게끔 공유를 드릴 예정입니다.

 

[ 미국 나스닥, S&P500 그리고 채권분석 ]


- 관점설명 -

 

1. 나스닥: 한주동안 나스닥은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트럼프가 백악관에 입성한 이후로, 계속된 상승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아직 모멘텀이 남아있기에, 당분간 이러한 상승세를 보여주지 않을까 싶네요.

 

2. S&P500: 전반적인 차트는 나스닥과 동일합니다.

 

3. 미국채권: 트럼프의 정책중에, 인플레이션을 잡는 부분이 있는데, 이러한 점이 10년물 채권금리에 영향을 주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최근 계속된 채권금리가 하락하면서, TLT 가격이 오르고 있습니다. 아직 그간 빠진거에 비하면, 부족합니다.

 

[ 미국금리, 10년물 금리 그리고 10-2년물 단차 ]


- 관점설명 -

 

4. 미국금리: 트럼프 2.0 정책은 나라의 경제를 활성화 시키는 부분이 있어서, 금리인하는 올해 2회 또는 그 이상을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앞으로 나오는 경제지표를 주의깊게 볼 필요가 있습니다.

 

5. 10년물 금리: 한주가 10년물 금리가 하락을 하면서, TLT 가격이 상댁적으로 올라주었습니다. 그렇지만, 여전히 4.6% 수준으로 높은 금리를 유지중에 있습니다.

 

6. 10-2년물 단차: 장단기 금리차가 올라가다가 한주가 살짝 내려왔네요. 그렇지만, 여전히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올 한해는, 경제지표를 꾸준히 살펴보면서, 대응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앞으로의 상황을 봐야겠지만, 장단기 금리차가 더 벌어질 경우에는 경기침체에 대한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 환율, 유가 그리고 공포지수 ]

 

 

- 관점설명 -

 

7. 환율: 한국의 정치상황도 있지만, 미국의 금리와도 밀접한 부분이 환율입니다. 현재 환율은 계속 상승하다가 최근 한주동안 1430원 수준으로 하락된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렇지만, 환율이 골든크로스 이후에 계속된 상승을 보여주고 있어서, 상승 모멘텀이 많은 상황입니다.

 

8. 유가: 유가는 최근 몇개월 하락을 보여주다가 최근에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아직 우려할 수준은 아니지만, 앞으로의 국면에 따라 급격한 상승을 보여줄 여지가 있습니다.

 

9. 공포지수: 12월 중순 공포지수가 급격히 튀어오른후, 다시 원래 수준으로 돌아왔다가 12월 말 이후로 다시 올라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트럼프 2.0 시작후 공포지수가 하락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해당 관점 분석은 저의 개인적인 견해로 앞으로의 투자와 방향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으로, 투자에 대한 판단과 결과에 대해서는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모두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와 구독 부탁립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