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적자유를 꿈꾸는 Ash 입니다.

 

거시적인 경제관점에서 현재의 상황을 파악하는 좋은 지표들로 준비했습니다. 하나의 지표가 아닌 다양한 지표들을 한눈에 보면서, 투자전략을 세우시면 좋을 것입니다. 해당 자료들은 아래와 같이 있습니다.

 

1. 나스닥

2. S&P500

3. 미국채권

4. 미국금리

5. 10년물 금리

6. 10-2년물 단차

7. 미국-한국 원달러 환율

8. 국제유가

9. 공포지수 (VIX)

 

최대한 간단하면서, 깔끔하게 이해가 되게끔 공유를 드릴 예정입니다.

 

[ 미국 나스닥, S&P500 그리고 채권분석 ]

 

 

- 관점설명 -

 

1. 나스닥: 일주일동안 다시 주가가 상승해주면서, 어느덧 다시 20000 선을 돌파

 

2. S&P500: 전반적인 차트는 나스닥과 동일. S&P500 도 6000 선을 돌파

 

3. 미국채권: 최근 10년물 채권가격 상승으로, TLT 가격은 조정중

 

 

 

[ 미국금리, 10년물 금리 그리고 10-2년물 단차 ]

 

 

- 관점설명 -

 

4. 미국금리: 계속된 기업의 실적과 나오는 경제지표로 인해, 금리인하에 대한 정책이 부정적임. 계속해서 상황을 주시

 

5. 10년물 금리: 최근 10년물 금리가 상승중 !!! 인플레이션에 대한 압력으로 영향이 보여짐.

 

6. 10-2년물 단차: 장단기 금리차는 다시 하락중 !!!

 

 

[ 환율, 유가 그리고 공포지수 ]

 

 

 

- 관점설명 -

 

7. 환율: 환율은 계속 1450원 선에서 횡보중. 한국경제에 부정적인 수치임.

 

8. 유가: 유가가 최근 올라가는 중. 현재 미국 주유소 기름값도 올라가고 있음.

 

9. 공포지수: 공포지수도 15~18 수준으로 양호함. 나름 탐욕의 구간이긴 하지만, 나쁘지 않음.

 

해당 관점 분석은 저의 개인적인 견해로 앞으로의 투자와 방향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으로, 투자에 대한 판단과 결과에 대해서는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모두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와 구독 부탁립니다. ^^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적자유를 꿈꾸는 Ash 입니다.

 

거시적인 경제관점에서 현재의 상황을 파악하는 좋은 지표들로 준비했습니다. 하나의 지표가 아닌 다양한 지표들을 한눈에 보면서, 투자전략을 세우시면 좋을 것입니다. 해당 자료들은 아래와 같이 있습니다.

 

1. 나스닥

2. S&P500

3. 미국채권

4. 미국금리

5. 10년물 금리

6. 10-2년물 단차

7. 미국-한국 원달러 환율

8. 국제유가

9. 공포지수 (VIX)

 

최대한 간단하면서, 깔끔하게 이해가 되게끔 공유를 드릴 예정입니다.

 

[ 미국 나스닥, S&P500 그리고 채권분석 ]

 

 

- 관점설명 -

 

1. 나스닥: 한주동안 나스닥은 상승 후 횡보중. 아직 불확실성으로 보여지는 부분들이 좀 있고, 그리고 기업들 실적이 발표됨에 따라서 등락을 거듭중

 

2. S&P500: 전반적인 차트는 나스닥과 동일

 

3. 미국채권: 10년물 채권가격이 하락을 하다가 최근 2~3 거래일동안 상승하면서, TLT 가격에도 하방 압력을 주는 상황

 

[ 미국금리, 10년물 금리 그리고 10-2년물 단차 ]

 

 

 

- 관점설명 -

 

4. 미국금리: 지난주 실업률 및 기대인플레이션 수치가 생각보다 좋게 나오지 않아서, 금리 인하에 대한 부분이 다소 부정적으로 관측됨. 그렇지만, 결국에는 금리는 인하하기에 계속 주시를 하면 좋을듯.

 

5. 10년물 금리: 최근 10년물 금리가 상승중 !!! 인플레이션에 대한 압력으로 영향이 보여짐.

 

6. 10-2년물 단차: 장단기 금리차 하락하다가 최근 다시 상승중. 그렇지만, 아직 시장은 크게 문제없음

 

 

[ 환율, 유가 그리고 공포지수 ]

 

 

- 관점설명 -

 

7. 환율: 환율은 여전히 1450원을 기준으로 횡보중. 골든 크로스 이후에 상황이 좋지는 않음.

 

8. 유가: 유가는 최근 하락을 거듭하다가 최근 몇거래일 동안 단기 반등중. 그렇지만, 문제될 부분은 아직 보이지 않음.

 

9. 공포지수: 공포지수도 15~18 수준으로 양호함. 나름 탐욕의 구간이긴 하지만, 나쁘지 않음.

 

해당 관점 분석은 저의 개인적인 견해로 앞으로의 투자와 방향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으로, 투자에 대한 판단과 결과에 대해서는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모두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와 구독 부탁립니다. ^^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적자유를 꿈꾸는 Ash 입니다.

 

거시적인 경제관점에서 현재의 상황을 파악하는 좋은 지표들로 준비했습니다. 하나의 지표가 아닌 다양한 지표들을 한눈에 보면서, 투자전략을 세우시면 좋을 것입니다. 해당 자료들은 아래와 같이 있습니다.

 

1. 나스닥

2. S&P500

3. 미국채권

4. 미국금리

5. 10년물 금리

6. 10-2년물 단차

7. 미국-한국 원달러 환율

8. 국제유가

9. 공포지수 (VIX)

 

최대한 간단하면서, 깔끔하게 이해가 되게끔 공유를 드릴 예정입니다.

 

[ 미국 나스닥, S&P500 그리고 채권분석 ]

 

 

- 관점설명 -

 

1. 나스닥: 관세로 인해서, 지난주 반짝 하락을 보여줬지만, 지금은 다시 원래 지점으로 돌아왔습니다. 한달이라는 시간을 유예했기에, 당분간 상승세를 이어가지 않을까 싶네요.

 

2. S&P500: 전반적인 차트는 나스닥과 동일합니다.

 

3. 미국채권: 채권가격이 전고점 대비해서, 살짝 하락을 하면서 TLT 가격이 단기적인(?) 상승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앞으로, 금리 정책에 따라서 올라갈 수 있는 여지가 충분히 많다고 생각합니다.

 

 

[ 미국금리, 10년물 금리 그리고 10-2년물 단차 ]

 

 

- 관점설명 -

 

4. 미국금리: 금리 결정이 아직은 섣부르기에, 아직 지표상 금리는 4.3-4.5 수준으로 보여집니다.

 

5. 10년물 금리: 1월 중순이후로, 10년물 금리가 많이 하락을 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현재 지점에서 지지를 받고, 올라갈지 아니면, 하락을 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6. 10-2년물 단차: 장단기 금리차가 최근 하락을 보여주어서, 0.3 수준으로 보여집니다. 당분간 경기침체에 대한 부분은 아직 아니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렇지만, 앞으로의 상황을 봐야겠지만, 장단기 금리차가 더 벌어질 경우에는 경기침체에 대한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 환율, 유가 그리고 공포지수 ]


 

- 관점설명 -

 

7. 환율: 환율은 여전히 굉장히 높은 지점에 위치하고 있고, 1450원수준에서 주가 변동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지금의 상황이 앞으로의 환율이 골든크로스 이후에 계속된 상승을 보여주고 있어서, 상승 모멘텀이 많은 상황입니다.

 

8. 유가: 유가도 1월중순 이후로 가격이 하락하고 있습니다.

 

9. 공포지수: 딥시크 + 관세전쟁 으로 인해서 굉장히 변동성이 큰 지난주였지만, 지금은 많이 안정세로 돌아왔습니다. VIX 지수도 17 수준으로 나쁘지 않은 수치입니다.

 

해당 관점 분석은 저의 개인적인 견해로 앞으로의 투자와 방향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으로, 투자에 대한 판단과 결과에 대해서는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모두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와 구독 부탁립니다. ^^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적자유를 꿈꾸는 Ash 입니다.

 

거시적인 경제관점에서 현재의 상황을 파악하는 좋은 지표들로 준비했습니다. 하나의 지표가 아닌 다양한 지표들을 한눈에 보면서, 투자전략을 세우시면 좋을 것입니다. 해당 자료들은 아래와 같이 있습니다.

 

1. 나스닥

2. S&P500

3. 미국채권

4. 미국금리

5. 10년물 금리

6. 10-2년물 단차

7. 미국-한국 원달러 환율

8. 국제유가

9. 공포지수 (VIX)

 

최대한 간단하면서, 깔끔하게 이해가 되게끔 공유를 드릴 예정입니다.

 

[ 미국 나스닥, S&P500 그리고 채권분석 ]

 

 

- 관점설명 -

 

1. 나스닥: 어제 Deep seek 충격으로 인해서, 반짝 하락을 했지만 다시 재반등중입니다. 한주동안의 수치로 보았을때는 보합세 정도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2. S&P500: 전반적인 차트는 나스닥과 동일합니다.

 

3. 미국채권: 1월중순 저점을 찍고, 단기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번주 FOMC 회의에서 나오는 금리인하 발언에 의해서, 채권가격의 방향이 좀 더 뚜렷히 보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 미국금리, 10년물 금리 그리고 10-2년물 단차 ]

 

 

- 관점설명 -

 

4. 미국금리: 트럼프 2.0 정책은 나라의 경제를 활성화 시키는 부분이 있어서, 금리인하는 올해 2회 또는 그 이상을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번주 FOMC 를 주의깊게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5. 10년물 금리: 한주가 10년물 금리가 하락을 하면서, TLT 가격이 상댁적으로 올라주었습니다. 그렇지만, 여전히 4.6% 수준으로 높은 금리를 유지중에 있습니다.

 

6. 10-2년물 단차: 장단기 금리차가 다시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올 한해는, 경제지표를 꾸준히 살펴보면서, 대응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앞으로의 상황을 봐야겠지만, 장단기 금리차가 더 벌어질 경우에는 경기침체에 대한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 환율, 유가 그리고 공포지수 ]

 

- 관점설명 -

 

7. 환율: 현시점에서 환율이 1400원 수준에서 횡보중으로 보여집니다. 그렇지만, 환율이 골든크로스 이후에 계속된 상승을 보여주고 있어서, 상승 모멘텀이 많은 상황입니다.

 

8. 유가: 유가는 1월초부터 상승세를 보여주었지만, 지난주부터 하락을 보여주면서 다시 되돌림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아직 우려할 수준은 아니지만, 앞으로의 국면에 따라 급격한 상승을 보여줄 여지가 있습니다.

 

9. 공포지수: 어제 Deep seek 여파로 반짝 VIX 지수 상승을 보여주고, 현재는 다시 정상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번주부터 빅테크 실적주인데, 실적에 따라서 공포지수가 올라갈지 떨어질지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해당 관점 분석은 저의 개인적인 견해로 앞으로의 투자와 방향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으로, 투자에 대한 판단과 결과에 대해서는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모두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와 구독 부탁립니다. ^^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적자유를 꿈꾸는 Ash 입니다.

 

거시적인 경제관점에서 현재의 상황을 파악하는 좋은 지표들로 준비했습니다. 하나의 지표가 아닌 다양한 지표들을 한눈에 보면서, 투자전략을 세우시면 좋을 것입니다. 해당 자료들은 아래와 같이 있습니다.

 

1. 나스닥

2. S&P500

3. 미국채권

4. 미국금리

5. 10년물 금리

6. 10-2년물 단차

7. 미국-한국 원달러 환율

8. 국제유가

9. 공포지수 (VIX)

 

최대한 간단하면서, 깔끔하게 이해가 되게끔 공유를 드릴 예정입니다.

 

[ 미국 나스닥, S&P500 그리고 채권분석 ]


- 관점설명 -

 

1. 나스닥: 한주동안 나스닥은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트럼프가 백악관에 입성한 이후로, 계속된 상승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아직 모멘텀이 남아있기에, 당분간 이러한 상승세를 보여주지 않을까 싶네요.

 

2. S&P500: 전반적인 차트는 나스닥과 동일합니다.

 

3. 미국채권: 트럼프의 정책중에, 인플레이션을 잡는 부분이 있는데, 이러한 점이 10년물 채권금리에 영향을 주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최근 계속된 채권금리가 하락하면서, TLT 가격이 오르고 있습니다. 아직 그간 빠진거에 비하면, 부족합니다.

 

[ 미국금리, 10년물 금리 그리고 10-2년물 단차 ]


- 관점설명 -

 

4. 미국금리: 트럼프 2.0 정책은 나라의 경제를 활성화 시키는 부분이 있어서, 금리인하는 올해 2회 또는 그 이상을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앞으로 나오는 경제지표를 주의깊게 볼 필요가 있습니다.

 

5. 10년물 금리: 한주가 10년물 금리가 하락을 하면서, TLT 가격이 상댁적으로 올라주었습니다. 그렇지만, 여전히 4.6% 수준으로 높은 금리를 유지중에 있습니다.

 

6. 10-2년물 단차: 장단기 금리차가 올라가다가 한주가 살짝 내려왔네요. 그렇지만, 여전히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올 한해는, 경제지표를 꾸준히 살펴보면서, 대응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앞으로의 상황을 봐야겠지만, 장단기 금리차가 더 벌어질 경우에는 경기침체에 대한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 환율, 유가 그리고 공포지수 ]

 

 

- 관점설명 -

 

7. 환율: 한국의 정치상황도 있지만, 미국의 금리와도 밀접한 부분이 환율입니다. 현재 환율은 계속 상승하다가 최근 한주동안 1430원 수준으로 하락된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렇지만, 환율이 골든크로스 이후에 계속된 상승을 보여주고 있어서, 상승 모멘텀이 많은 상황입니다.

 

8. 유가: 유가는 최근 몇개월 하락을 보여주다가 최근에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아직 우려할 수준은 아니지만, 앞으로의 국면에 따라 급격한 상승을 보여줄 여지가 있습니다.

 

9. 공포지수: 12월 중순 공포지수가 급격히 튀어오른후, 다시 원래 수준으로 돌아왔다가 12월 말 이후로 다시 올라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트럼프 2.0 시작후 공포지수가 하락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해당 관점 분석은 저의 개인적인 견해로 앞으로의 투자와 방향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으로, 투자에 대한 판단과 결과에 대해서는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모두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와 구독 부탁립니다. ^^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가치있는 데싸를 꿈꾸는 달리는 조조 입니다.

 

요즘 핫한 ETF 에 관련해서 얘기해볼까 합니다. 저 또한 ETF 를 눈여겨보고 있지 않다가, 요새같은 변동성이 클 때는 특정회사를 하는 것도 괜찮지만, 지수펀드도 좀 더 안정적일 것이라고 생각이 되어지네요. 얼마전 들어갔어야 하는데, 못들어가서 다시 저가매수 시점을 보고 있습니다. ^^

 

ETF 의미

 

ETF 란 상장지수 펀드라고 해서, Exchange-Traded fund 라고 합니다. 이해하기 쉽게 거래 목적의 투자신탁 펀드상품이라고 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

 

ETF 의 장점

 

말 그대로 다수의 채권, 주식, 원자재 각각의 ETF 의 특성에 맞게 투자를 하기 때문에, 나름 분산투자의 개념으로 접근하시는게 좋을 것 같네요. 예를 들어서, 미국 ETF 에서 유명한 SPY (S&P500 지수) 와 QQQ (나스닥지수) 를 예로 들어볼께요. SPY 는 S&P500 지수에 투자하고 있는데, S&P500 의 회사들의 주가가 올라간다면 SPY 주가도 올라가겠죠. 다시말해서, 특정회사가 아닌 특정 항목을 목적에 맞게 투자를 하게되니, 좀 더 안정적이라고 볼 수 있네요.

 

ETF 의 단점

 

위에서는 장점만 나열했는데, 당연히 단점도 있겠죠. 수익률이 단일종목 투자 대비 적겠죠. 그래서, 충분한 Seed money 가 있으시면, 그냥 장기투자 입장에서 잊어버리시기에 좋을 것 같네요.

 

ETF 의 종류

 

제가 요즘 보고 있는 미국 ETF 만 설명드리고자 하는데, 특정 2개를 보고 있습니다. SPY 와 QQQ 는 이미 너무 많이 올라있고, 수익률도 보니 투자기간 대비 그렇게 만족할 수준이 아니여서...저는 X2 Leveraged 쪽으로 QLD (나스닥지수 2배 레버리지) 와 USD (반도체지수 2배 레버리지) 를 보고 있습니다. 물론 레버리지 특성상 high risk 이긴 한데, 앞으로 미국시장이 계속 우상향한다고 한다면, 좋은 수익률을 보일 수 있을 것 같네요. 참고로, 레버리지는 Robinhood apps 에서는 장기투자용으로 추천하지는 않는것 같네요. 아마도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그런것 같네요.

 

아래는 QQQ , QLD 와 USD 5년치를 가지고 와봤습니다.

우선 수익률 먼저 비교해볼까요?

QQQ: 284.89%

QLD: 871.88%

USD: 1597.5%

 

선택은 각자의 투자방식에 따라서 선택하시면 좋을 것 같네요.

 

[ 5년치 QQQ 수익률 ]

 

[ 5년치 QLD 수익률 ]

 

[ 5년치 USD 수익률 ]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와 구독 부탁립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